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서울교육대학교
- JAMOVI
- 논문
- 읽기쉬운자료개발센터
- 혼합 연구
- 발달장애
- 교육학
- 표본
- 양적 연구
- 발달 장애인
- 부분 매개
- 문헌 지도
- 선생님
- ANOVA
- 분석
- 문헌 고찰
- 교육
- 홍성두
-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 질적 연구
- 피치마켓
- 학습장애
- 완전 매개
- Kappa계수
- 읽기쉬운자료
- 연구방법론
- 총 효과
- 특수교육
- creswell
- 대학원
- Today
- Total
목록일상 (20)
iglooo

발달장애인이 읽기 쉬운 자료 제작 안내서(알다) ‘읽기 자료’ 제시에 있어서 결국 어떻게 해야 하는가? - 1단계 그룹을 구성한다. 1. 읽기 쉬운 자료를 함께 만들 당사자 그룹을 구성한다. 당사자들의 욕구에 기반한 자료를 만들어야 한다. 2. 문해력, 의사표현, 경험이 서로 다른 발달장애인으로 구성하면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자료에 반영할 수 있다. 삽화가 가능한 발달장애인을 과정에 참여시키면 자료에 삽화를 추가하여 더 좋다. 3. 구성원 간 관계, 친분 정도,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소외되는 구성원이 없게 해야한다. 4. 그룹을 구성할 때 지역사회의 자조모임을 통해 읽기 쉬운 자료 제작을 함께 할 수 있다. 2단계 발달장애인의 비언어적 의사표현을 이해한다. 1. 읽기 쉬운 자료의 제작시간을 충분히 확보..
문헌고찰 문헌고찰을 왜 해야 하는가? 기존에 나와있던 연구에 이어서 하기 위해 내가 추가하거나 덧붙일 부분 확인 연구주제 주제를 명확히 정하고 문헌고찰을 해야 한다. 실제적으로 경험한 주제, 관심있는 주제 선정이 중요하다 연구주제를 내꺼라고 생각하는 마인드 필요 시대적으로 해야하는 주제들도 있다. 연구주제 정하기 팁 - 익숙한 주제 - 내가 잘 알고있는 분야를 학문적으로 풀어보기 - 도서관에 가서 충분한 시간 투자해보기 - 최근에 나온 소논문 읽어보기 연구의 필요성 - 기존 지식을 확장시키는데 도움을 주는지 - 저평가된 집단이나 개인의 입장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 - 사회정의 실현에 도움을 주는지 - 연구자의 아이디어와 신념을 일관성있게 나타내고 있는지 - 우리분야에 속한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도구가 신뢰롭고 타당해야 한다. 타당도 Validity 검사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얼마나 충실히 측정하였는가를 의미함 - 검사가 갖는 고유한 속성이 아니라 검사에서 얻은 결과의 해석에 대한 타당성의 근거(AERA, APA, NCME) - 타당도가 높다, 낮다 타당도 검증방법 1. 검사내용에 기초한 근거 2. 반응과정에 기초한 근거 3. 내적구조에 기초한 근거 4. 다른 변수에 기초한 근거 5. 검사결과에 기초한 근거 검사 내용에 기초한 근거 - 내용 전문가에 의하여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을 제대로 측정하였는지 주관적으로 판단함 장점 - 전문가의 판단에 의하여 검사 목적에 부합 여부를 검증할 수 있음 단점 - 정의에 대한 공통된 인식이 없는 특성, 특히 정의적 행동 특성을 ..

관계분석(2) 중다회귀 분석 - 독립변수 2개 이상 확인적 분석 - 모형 선택이 적용하고자 하는 이론에 근거를 둔 경우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서 이론적 근거가 있을 때 탐색적 분석 - 적용할 이론을 사전에 정해놓지 않고 가능한 여러 모형을 고려한 후 가장 적절한 모형을 고르는 경우 모형선택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관계가 높아야 함 -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선택된 독립변수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낮아야 함 - 소수정예의 원칙을 따름 모형선택 방법 1. Enter; 모든 독립변수가 진입됨 2. Forward; 독립변수 중 상관계수가 가장 큰 것 포함 후 편상관계수의 크기순으로 하나씩 추가시킴 3. Backward; 모든 변수를 넣고 편상관계수가 가장 작은 ..

관계분석 (1) 카이제곱 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 카이제곱 검정 - 두 범주형 변수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는 것 - 예; 성별에 따른 합격 여부의 차이가 있는지 상관분석 - 두 양적 변수 혹은 하나는 범주형 하나는 양적 변수일 때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 회귀분석 -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가 무엇이 있는지 찾아보게 될 때 사용 카이제곱 검정 - 두가지 이상의 질적변수(범주형 변수)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 예; 성별에 따른 정당의 선호도 - 교차표를 작성하기 때문에 교차분석이라고도 함 - 가로와 세로가 독립인지 검정함 기본 가정 - 획득도수와 기대도수가 5이하인 cell이 전체의 20% 이하여야 함 -> 20%가 넘으면 Fisher의 Exact test가 권장됨 - 각 칸에 떨어져 있..

집단간 차이분석(2) 이원분산 분석, 반복측정 분산분석, 공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 two way ANOVA - 그룹 변수가 하나인 일원분산분석의 확장으로 두개의 그룹 변수를 가짐 - 두 그룹 변수의 효과(주효과) + 상호작용 효과 - 독립변수; 범주형 변수 / 종속변수; 연속형 변수 - 연구문제/연구 대상 예; 교수법과 성별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 one way ANOVA에서는 교수법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즉 한 그룹의 변수만 있었음 분산분석의 절차 가정 - 정규성가정, 등분산성 가정 필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확인하는 방법 = p값확인 반복측정 분산분석 - 처치변수의 효과를 알고자하는 연구에서 연구대상의 특성과 관련된 매개변수는 실험설계로 통제하기 어려움 - ..

연구접근이란 - 양적 접근, 질적 접근, 혼합접근 - 이러한 접근법은 이건 뭐다 이건 뭐다 명확히 정해진 것은 아님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접근법이 달라진다. 연구문제란? -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이슈나 관심사 - 문제의 생성 - 문헌 속에서 논쟁거리 - 소외된 참여자의 목소리 - 실생활 문제 논문을 읽는 이유 - 이론적 배경이 중요하다 - 연구의 시작과 끝 - 책으로 만들어졌다 =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많은 지식의 축적이 이루어짐 - 검색을 했는데 연구주제 자료가 안나온다? -> 1. 연구주제를 잘잡았다. -> 2. 너무 멀리갔다..? 양적 접근 -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확인, 중재의 효과, 결과를 예측하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 = 양적 접근 질적 접근 - 거의 수행되지 않는 개념이나 현상을 이해할 ..

집단간 차이분석(1) T검정 - 두 집단간의 차이, 모집단의 차이 ANOVA T검정 - One sample Ttest 1표본 T검정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이 모집단과 차이가 있는지를 살피는 검정과정 - Paired samples Ttest 종속표본 T검정 실험설계를 했을 때 사전 사후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볼 때, 부부 쌍둥이간 차이가 있는지를 볼 때 - Independent Samples Ttest 독립표본 T검정 두 독립된 집단간의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를 볼 때 One sample Ttest - 모집단에서 추출된 표본의 평균과 연구자가 이론적 배경이나 경험적 배경에 의해 설정한 특정한 값과 같은지 검증하는 통계 방법 - 가정; 자료가 정규분포를 따른다 - 가정;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으면 wilcoxon..

추리통계를 위한 기초지식 기술통계 - 추리통계로 넘어가기 이전에 선행적인 통계 - 자료정리, 요약, 자료의 있는 그대로 추측통계, 추리통계 - 모집단의 특성 추론, 미래 예측 자료수집한 다음에 기술통계를 통해 평균 분산 표준편차를 먼저 제시한 후에 추리통계를 산출 기술통계 (51, 52) - 자료수집 및 정리 - 자료 형태 표현 - 자료의 특성값 도출 - 수집한 데이터의 주요 특성을 분석 및 기술하는 통계방법 예시; 평균값, 중위수, 최빈수, 최댓값, 최소값, 범위, 분산, 표준편차 ... 사례; H대학교 A과의 최근 5년간 4학년 학생들의 과목별 성적을 분석해서 학생들의 성적변화 추세치를 본다. - 어떻게 변했구나 추리통계 - 표본으로부터 관찰하고자 하는 특성값 도출 - 표본은 모집단을 잘 대표해야 한..

실험연구법 실험연구; 개입을 제공하는 한 집단(실험집단)과 어떠한 개입도 제공하지 않은 또 다른 집단(통제집단)의 결과들을 비교 조사대상에 대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인위적으로 규정하여 조작된 변수의 효과를 파악하는 방법 - 실험집단;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적용 - 통제집단; 기존의 교육프로그램 적용 -> 최근엔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이 기존 교육프로그램과 비슷한 결과가 나오는 것 만으로도 어느정도 인정을 받을 수 있음 분석단위; 개인이 아닌 집단 - 집단의 데이터로 결과 분석 목적; 개입효과의 성공여부 확인보다는 '인과관계'의 규명 -> 중재프로그램이 어떤 것을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인과관계가 성립된다라는 것을 규명하는게 더 중요하다. 실험연구의 기본요소 - 공변성, 시간적 우연성, 외부설명의 통제 공변성..
조사연구법 조사연구(survey)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을 대상으로 계획한 주제와 관련한 질문의 응답을 얻어내고, 이를 통계절차에 따라 가공, 분석하는 조사방법 - 어떤 크기의 표본을 어떻게 추출할 것이며(표본크기와 표본추출), 어떻게 설문지를 설계하고(설문지 작성), 어떤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할 것인가(조사유형)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연구방법 - 표본을 얼마나 뽑을까, -> 다른 연구를 참조하면 된다. - 좋은 표본을 뽑아도 설문지 설계가 중요하다. - 의도하는 답변, 유도하면 연구의 건강성을 해친다. - 조사유형; 앱, 전화, 구두, 조사의 측정요소; 사실, 의견, 행동 사실 - 독립적으로 증명될 수 있는 모든것 - 관찰가능하고 조작적으로 정의가 일치하는 현상(성별 연령 교육정도(초졸, 중졸, 고졸)..

논문은 형식이 있다. 논문의 기본요건 독창성 객관성 - 근거의 입각성 정확성 - 출처, 연도 일관성 - 앞부분과 뒷부분의 용어 일관성 가독성 - 전공자가 이해 가능한 수준 기타 연구계획의 필요성 1. 연구자의 생각을 정리하고 연구문제를 분명히 함 2. 연구수행의 길잡이 역할을 함 3. 연구문제와 연구진행과정에 대해 조직적이고 심도있게 사고함 4. 연구과제에 대한 연구자의 생각과 의도를 전달함 - 연구계획서를 잘 짜는게 중요하다 연구주제 1. 흥미있는 주제, 해결해야할 과제, 알고싶은 문제 2. 문제의식과 주의깊은 관찰, 최신정보와 연구동향 파악, 비판적 독서와 다양한 분석 - 흥미만으로 연구주제가 될 수 없다! 연구계획서 작성 연구주제 발견요령 - 학위논문 뒷 부분에 한계 제한점 찾고 비판적 사고를 통해..
지능검사는 지능을 구성하고있는 여러가지 구성개념을 측정하는데 이 구성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해서 측정가능한 변인으로 만들어내고 그 변인들을 측정하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가 측정하는 것은 지능이 아니라 조작적 정의를 통해서 문화화한 그 변인들을 측정함으로서 구성개념을 파악하고 구성개념을 통해서 지능 이론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론적 토대를 쓰는 이유 - 내가 생각하는 '지능' 은 무엇인가 -> 이론적 토대를 잘 설명해서 구성개념 변인 조작적 정의를 잘 내려야 한다. 무엇을 설명하고 예측하고 통제하고 나아가서 일반화를 할 수 있었을 때 사회과학으로서 교육학의 목표를 다했다고 할 수 있다. 이론이 있어도 경험을 통해 증명이 되어야 한다. 이론과 경험은 상호작용 하는 것 (누가 먼저인가는 x) 서로 ..

처음 가는 여행은 늘 설렌다. 예전에 정동진에 놀러 갔을 때 서울로 가기 위해 강릉으로 간 적은 있는데, 따로 강릉만 가본적은 처음이다. 속초는 그래도 몇번 갔는데, 참 아침 일찍 도착한 강릉에서의 첫 목적지는 까페였다. 원래 다른 까페를 가려고 했는데, 뭔가 네비를 켜서 도착해보니 '교동빵집'이 나왔다. 그냥 지나칠만도 한데, 안에 빵먹는 사람이 있어서 괜찮겠다 싶어서 들어갔다. 식빵? 데니쉬? 하튼 빵이 메인이다. 옆에 잒은 카페가 있는데 빵을 사면 음료는 50% 할인 해준다. 너무 맛있게 잘먹었는데 이름이 메이플 어쩌구 데니쉬...인 것 같다. 전체적으로 촉촉하고 중간에 메이플 시럽이 발라져있는데 음 그냥 설탕처럼 단맛이나 인위적인 맛 보단, 달짝지근?한 맛이라고 느꼈다. 쉽게 물리지도 않아서 반통..

"저에 대한 내용도 알 수 있어서 저랑 맞는 것 같아요." 누군가를 가르치는 직업이라고는 하지만 나도 학생들에게 매일매일 배우고 있는 입장이다. 정신분석, 뇌에 관한 책을 좋아한다는 학생에게 왜 그 책이 좋은지 물어봤는데 자신에 대한 내용이 나오고 경계성 장애에 대한 내용도 나온다고 얘기를 했다. 우리는 보통 자신의 약점, 치부를 드러내는 것에 익숙하지 않는데, 자기 스스로에 대한 부분을 쉽게 말하는 것에 대해 복잡한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쿨하게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보고 있거나 혹은 남의 잣대와 시선에 이미 익숙해져 있거나 둘 중에 어떤 것이 그 학생의 마음일지는 모르겠지만 무엇이든 간에 그냥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왠지 그냥 그렇다. 선생님에 대한 무한한 존경을 보이면서 자신에 대해선 한없이 낮은 자..

최근 자투리시간에 할게 뭐 없나 하고 찾아보다가 레이블러? 라는 사이트를 알게 되었다. 대충 시키는거 하면 돈을 주는 그런 사이트인데 유튜브에 검색해보니 뭐 부업으로 짭짤하고 소득이 괜춘하다 했지만 실제로 들어가서 해보니 크게 와닿지는 않았다. 일단 할만한게 많이 없는데, 업무? 가 많지가 않다. 2~3주간 지켜봤는데 대략 6개 정도의 업무만 고정적으로 떠있고 새로운 업무는 거의 없다고 보면된다. 그래도 한번 해보자는 마음으로 요약하기를 주로 해봤다. 튜토리얼 요약 프로젝트를 끝내고 '도서 요약 프로젝트 작업자 모집' 을 신청해서 3개의 글을 요약하면 이렇게 우수 작업자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요약 난이도는 솔직히 좀 어렵다고 느껴졌다. 1부터 5까지 난이도가 있다고 하면 제일 쉬운 1은 거의 안나..

"문항을 이해를 못해요" 시대는 빠르게 변한다. 그것도 아주 빠르게. 인터넷 시장은 다른 시장보다 더 그렇다. 어제의 신상이 오늘은 언급조차 없어진다. 한창 코로나, 집콕으로 인해 MBTI나 자가 심리테스트 같은 평가지가 유행했었다. 사람들은 딩굴거리면서 자신의 성격을 되돌아보고 공유하고 이야기를 나눴다. 느린학습자, 발달장애인들은 이 트렌드에 같이 할 수 있었을까? 1. 직업병? 뭔가 아직 직업이랄 것도 없지만서도 괜히 학생들이 다른 일반 학생들처럼 하지 못하거나, 누리지 못하거나, 어려움을 느끼면 괜히 내가 잘못한것 같다. 그냥 뭔가 그렇다. MBTI 검사를 학생과 같이 해서 자신의 성격도 되돌아보고 강점은 강점대로 약점은 약점대로 보완하는 프로그램을 생각해봤는데 또 쉽지 않을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

"1차가 운이라면 2차는 실력이다." 이번 임용 1차를 붙고 2차 시험은 준비하지 '않'았습니다. 이 이야기는 나중에 하도록 하고.. 1. 8:20 8시 20분까지 입실을 완료합니다. 8시 20분이 되면 '수험표, 신분증, 물, 간단한 개인용품(공부자료X)'를 제외하고 모두 반납합니다. 그렇게 모든 물품을 정리하고 가만히 앉아있습니다. 그리고 '관리번호'를 뽑습니다. *관리번호는 수험번호나 이름 대신 사용하는 번호입니다. 수업 실연이나 면접에서 "관리번호 몇번 입니다"라고 말해야 합니다. 관리번호 순서대로 수업실연과 면접이 진행되는데요. 이 때는 앉아있는 수험번호 순서대로 관리번호를 뽑게 됩니다. 2. 9:00 9시부터 10시까지 한시간 동안 지도안을 작성합니다. 문제지를 보고 답안지에 작성을 하는데, ..

어휘는 언어의 전제조건이다. 다양한 어휘는 곳 다채로운 언어를 가능하게 한다. 만약 어휘의 수가 부족하거나, 알고있는 단어가 적다면 내가 구사할 수 있는 언어 표현의 한계도 있겠지만 사회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에서도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 내가 생각한 교수법은 '사고 확장을 통한 어휘학습'이다. 1. 마인드맵 그리기 우선 상황에 관한 다양한 단어들을 마인드맵에 그려본다. 학령기 학생이지만 특정 상황에 자주 속해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 상황에 대한 마인드맵을 그려보게 했다. 학생의 마인드맵을 보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는데 바로 학생이 알고있는 단어, 사용하는 단어에 대해서만 마인드맵을 작성한 것과 추상적인 단어는 거의 없고, 구체적인 형태가 있는 사물이 주를 이룬 것이다. 예를 들면 이탈리아 레스토랑에서..

"학생이 단어는 읽을 수 있는데, 낱글자는 못읽어요." 1. 현행수준 읽기 교수의 영역 측면에서 보면 읽기선수기술에서 프린트 인식 O 자모지식 △ 음운인식 O 으로 보인다. 낱개로 있는 자모음을 읽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예를들어 'ㄱ'을 "기억"이나 "가"로 발음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ㅣ'를 "이"라고 발음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단어인지 측면에선 큰 어려움을 보이진 않는데, 음독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예를들어 '바다'는 읽을 수 있지만(단어 자체를 알기 때문에) '바지'는 읽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존에 학습한, 알고있는 단어는 말할 수 있지만, 새로운 단어를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2. 어떻게 해야할까 파닉스 교수 파닉스 교수는 낱자-소리의 대응관계를 활용하여 단어를 학습하는 방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