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읽기쉬운자료개발센터
- 발달 장애인
- 부분 매개
- 피치마켓
- ANOVA
- 교육
- creswell
- 홍성두
- 표본
- 문헌 고찰
- 학습장애
- 논문
- 읽기쉬운자료
- Kappa계수
- 서울교육대학교
- 선생님
- 완전 매개
- 총 효과
- 발달장애
- 대학원
- 문헌 지도
- JAMOVI
- 양적 연구
- 교육학
-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 연구방법론
- 질적 연구
- 분석
- 혼합 연구
- 특수교육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읽기쉬운자료 (1)
iglooo

발달장애인이 읽기 쉬운 자료 제작 안내서(알다) ‘읽기 자료’ 제시에 있어서 결국 어떻게 해야 하는가? - 1단계 그룹을 구성한다. 1. 읽기 쉬운 자료를 함께 만들 당사자 그룹을 구성한다. 당사자들의 욕구에 기반한 자료를 만들어야 한다. 2. 문해력, 의사표현, 경험이 서로 다른 발달장애인으로 구성하면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자료에 반영할 수 있다. 삽화가 가능한 발달장애인을 과정에 참여시키면 자료에 삽화를 추가하여 더 좋다. 3. 구성원 간 관계, 친분 정도,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소외되는 구성원이 없게 해야한다. 4. 그룹을 구성할 때 지역사회의 자조모임을 통해 읽기 쉬운 자료 제작을 함께 할 수 있다. 2단계 발달장애인의 비언어적 의사표현을 이해한다. 1. 읽기 쉬운 자료의 제작시간을 충분히 확보..
일상/열렬한 삶
2021. 4. 6.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