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교육학
- 논문
- 혼합 연구
- 문헌 지도
- 표본
- 피치마켓
- 교육
- 홍성두
- JAMOVI
- ANOVA
- 완전 매개
- 선생님
- 총 효과
- 서울교육대학교
-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 양적 연구
- 문헌 고찰
- 읽기쉬운자료
- 읽기쉬운자료개발센터
- 학습장애
- 분석
- 부분 매개
- 질적 연구
- Kappa계수
- 연구방법론
- creswell
- 발달 장애인
- 특수교육
- 발달장애
- 대학원
- Today
- Total
목록피치마켓 (2)
iglooo

발달장애인이 읽기 쉬운 자료 제작 안내서(알다) ‘읽기 자료’ 제시에 있어서 결국 어떻게 해야 하는가? - 1단계 그룹을 구성한다. 1. 읽기 쉬운 자료를 함께 만들 당사자 그룹을 구성한다. 당사자들의 욕구에 기반한 자료를 만들어야 한다. 2. 문해력, 의사표현, 경험이 서로 다른 발달장애인으로 구성하면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자료에 반영할 수 있다. 삽화가 가능한 발달장애인을 과정에 참여시키면 자료에 삽화를 추가하여 더 좋다. 3. 구성원 간 관계, 친분 정도,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소외되는 구성원이 없게 해야한다. 4. 그룹을 구성할 때 지역사회의 자조모임을 통해 읽기 쉬운 자료 제작을 함께 할 수 있다. 2단계 발달장애인의 비언어적 의사표현을 이해한다. 1. 읽기 쉬운 자료의 제작시간을 충분히 확보..

"문항을 이해를 못해요" 시대는 빠르게 변한다. 그것도 아주 빠르게. 인터넷 시장은 다른 시장보다 더 그렇다. 어제의 신상이 오늘은 언급조차 없어진다. 한창 코로나, 집콕으로 인해 MBTI나 자가 심리테스트 같은 평가지가 유행했었다. 사람들은 딩굴거리면서 자신의 성격을 되돌아보고 공유하고 이야기를 나눴다. 느린학습자, 발달장애인들은 이 트렌드에 같이 할 수 있었을까? 1. 직업병? 뭔가 아직 직업이랄 것도 없지만서도 괜히 학생들이 다른 일반 학생들처럼 하지 못하거나, 누리지 못하거나, 어려움을 느끼면 괜히 내가 잘못한것 같다. 그냥 뭔가 그렇다. MBTI 검사를 학생과 같이 해서 자신의 성격도 되돌아보고 강점은 강점대로 약점은 약점대로 보완하는 프로그램을 생각해봤는데 또 쉽지 않을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