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양적 연구
- 부분 매개
- ANOVA
- 질적 연구
- 표본
- 발달 장애인
- 읽기쉬운자료개발센터
- 문헌 지도
- 서울교육대학교
- JAMOVI
- 대학원
- 완전 매개
- 총 효과
- Kappa계수
- 학습장애
- 논문
- 선생님
- creswell
- 교육
- 홍성두
- 문헌 고찰
- 특수교육
- 피치마켓
- 혼합 연구
- 읽기쉬운자료
- 분석
- 연구방법론
- 발달장애
-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 교육학
- Today
- Total
목록읽자 (2)
iglooo

"평균은 실재하는가?" 평균은 우릴 안심시킨다. 평균에 가까운 우리는 중간은 한다며 안심하고 평균보다 우월한 우리는 나보다 아래를 보고 안심하며 평균보다 낮은 우리는 평균은 되야지 하며 위안한다. 평균은 그렇다. 평균의 종말을 읽으면서 관통하는 질문은 결국 '평균은 실재하는가' 였다. 책은 평균은 허상이라고 말한다. 평균은 결국 오류가 만들어낸 허상이라고 말한다. '대니얼스는 ... 정상에 대한 인위적인 이상을 더 열심히 따르도록 권고하기 보다 ... '평균적 인간을 바탕으로 삼아 설계된 시스템은 실패하기 마련이다.' 26p 평균적 인간을 바탕으로 삼아 설계된 시스템은 실패하기 마련이다. 평균과 독립적인 '점수' 그 자체는 다르다. 하지만 현재 교육시장에서 '점수'는 숫자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점수..

0. 왜? 어휘력이 낮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력 향상을 위해 어떤 교수방법이 있는지 검색을 하다 읽게 되었다. 특히 기존에 문제중심학습은 일반학생에게만 적용하는 교수법이라 생각했는데, 이를 어떻게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에 적용할 것인지 궁금했다. 1. 서론(1~2p) 지적장애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사용하는 어휘의 수가 적고, 어휘를 이해하는 능력도 부족하다. 어휘력과 언어적 사고력은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 언어적 사고력이란 뭘까? 사고력이란 생각하고 헤아리는 힘, 판단하는 힘을 의미한다. 아마 언어적 사고력이란 언어가 뜻하는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 같다. 지적장애학생의 낮은 어휘력은 일상의 의사소통에서 문제를 보이고 언어적 문제해결에서도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언어적 문제해결력이 무엇인지 궁금한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