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읽기쉬운자료
- 완전 매개
- 표본
- 피치마켓
- 대학원
- 발달장애
- 연구방법론
- 분석
- 논문
- 질적 연구
- 문헌 고찰
- 문헌 지도
- JAMOVI
- 학습장애
- 교육학
- 양적 연구
- 발달 장애인
- 읽기쉬운자료개발센터
- 교육
- 혼합 연구
- 부분 매개
-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 특수교육
- Kappa계수
- 서울교육대학교
- 총 효과
- 홍성두
- 선생님
- creswell
- ANOVA
- Today
- Total
목록선생님 (2)
iglooo

"저에 대한 내용도 알 수 있어서 저랑 맞는 것 같아요." 누군가를 가르치는 직업이라고는 하지만 나도 학생들에게 매일매일 배우고 있는 입장이다. 정신분석, 뇌에 관한 책을 좋아한다는 학생에게 왜 그 책이 좋은지 물어봤는데 자신에 대한 내용이 나오고 경계성 장애에 대한 내용도 나온다고 얘기를 했다. 우리는 보통 자신의 약점, 치부를 드러내는 것에 익숙하지 않는데, 자기 스스로에 대한 부분을 쉽게 말하는 것에 대해 복잡한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쿨하게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보고 있거나 혹은 남의 잣대와 시선에 이미 익숙해져 있거나 둘 중에 어떤 것이 그 학생의 마음일지는 모르겠지만 무엇이든 간에 그냥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왠지 그냥 그렇다. 선생님에 대한 무한한 존경을 보이면서 자신에 대해선 한없이 낮은 자..

"평균은 실재하는가?" 평균은 우릴 안심시킨다. 평균에 가까운 우리는 중간은 한다며 안심하고 평균보다 우월한 우리는 나보다 아래를 보고 안심하며 평균보다 낮은 우리는 평균은 되야지 하며 위안한다. 평균은 그렇다. 평균의 종말을 읽으면서 관통하는 질문은 결국 '평균은 실재하는가' 였다. 책은 평균은 허상이라고 말한다. 평균은 결국 오류가 만들어낸 허상이라고 말한다. '대니얼스는 ... 정상에 대한 인위적인 이상을 더 열심히 따르도록 권고하기 보다 ... '평균적 인간을 바탕으로 삼아 설계된 시스템은 실패하기 마련이다.' 26p 평균적 인간을 바탕으로 삼아 설계된 시스템은 실패하기 마련이다. 평균과 독립적인 '점수' 그 자체는 다르다. 하지만 현재 교육시장에서 '점수'는 숫자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