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학습장애
- 읽기쉬운자료
- 부분 매개
- ANOVA
-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 연구방법론
- 선생님
- 총 효과
- 양적 연구
- 대학원
- JAMOVI
- 논문
- 혼합 연구
- 홍성두
- 발달 장애인
- 문헌 지도
- Kappa계수
- 표본
- 읽기쉬운자료개발센터
- creswell
- 완전 매개
- 발달장애
- 분석
- 교육학
- 교육
- 서울교육대학교
- 질적 연구
- 문헌 고찰
- 피치마켓
- 특수교육
- Today
- Total
iglooo
[학습장애] 어휘력 높이기 & 단어 확장하기 본문
어휘는 언어의 전제조건이다.
다양한 어휘는 곳 다채로운 언어를 가능하게 한다.
만약 어휘의 수가 부족하거나, 알고있는 단어가 적다면
내가 구사할 수 있는 언어 표현의 한계도 있겠지만
사회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에서도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
내가 생각한 교수법은 '사고 확장을 통한 어휘학습'이다.
1. 마인드맵 그리기
우선 상황에 관한 다양한 단어들을 마인드맵에 그려본다.
학령기 학생이지만 특정 상황에 자주 속해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 상황에 대한 마인드맵을 그려보게 했다.
학생의 마인드맵을 보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는데
바로 학생이 알고있는 단어, 사용하는 단어에 대해서만 마인드맵을 작성한 것과
추상적인 단어는 거의 없고, 구체적인 형태가 있는 사물이 주를 이룬 것이다.
예를 들면
이탈리아 레스토랑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에게 마인드맵을 그리라고 한다면
파스타 - 봉골레 파스타 - 봉골레 - 조개 - 어패류 - 해산물
이런식으로 이어질 거라 생각을 했는데
파스타 - 봉골레 파스타, 알리오 올리오, 로제 파스타 (메뉴들)
로만 작성이 되어 있었다.
2. 단어 뜻 찾기
일단은 학생이 찾아온 단어중에 뜻을 알거나 모르는 단어가 있기 때문에
마인드맵에 작성한 단어의 뜻을 찾고 적어보도록 했다.
사전에서 뜻을 찾으면 도구, 연장, 기구 처럼 비슷한 단어가 계속해서 나오게 되고
유의어에 계속 노출되면서 한가지 단어가 아닌 다양한 단어에 익숙해지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이런 과제를 주었다.
3. 새로운 단어 찾기
처음 마인드맵은 학생이 있는 상황속에서
예를 들면 레스토랑에 대한 마인드맵이였다면
두번째 마인드맵은 레스토랑의 조리기구에 대한 마인드맵을 작성하도록 해봤다.
특히 이번엔 사전을 찾고 검색을 하면서 레스토랑에 없는 단어를 찾도록 과제를 제시했는데
처음엔 당황했지만 백과사전을 통해 찾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생각보다 많은 단어를 찾아왔고, 더욱 좋은 점은 레스토랑에 없는 새로운 조리기구를 많이 작성해왔다는 점이다.
4. 앞으로
새로 찾은 단어는 아직 뜻을 모르기 때문에, 다시 사전을 찾아서 뜻을 쓰도록 할 예정이다.
문제는 단어나 어휘는 머리로 배우는 지식도 중요하지만 실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도 중요한데
학교 이외의 혼자서는 이런 기회가 적다는 것이다.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새로 학습한 어휘를 사용하게 할지를 고민해봐야 겠다.
'일상 > 흔한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계성] 나에 대해 알아가는 중입니다. (0) | 2021.02.03 |
---|---|
[미안해] MBTI를 하지 못하는 너에게 (0) | 2021.01.28 |
[학습장애] 통글자로 학습하는 학생 (0) | 2021.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