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헌 고찰
- 교육
- 읽기쉬운자료개발센터
-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 발달 장애인
- 선생님
- 서울교육대학교
- 학습장애
- 표본
- JAMOVI
- 발달장애
- 질적 연구
- 피치마켓
- 완전 매개
- 양적 연구
- 읽기쉬운자료
- 문헌 지도
- 교육학
- 총 효과
- 특수교육
- 논문
- ANOVA
- 분석
- 부분 매개
- Kappa계수
- creswell
- 연구방법론
- 대학원
- 홍성두
- 혼합 연구
- Today
- Total
목록홍성두 (4)
iglooo

실험연구법 실험연구; 개입을 제공하는 한 집단(실험집단)과 어떠한 개입도 제공하지 않은 또 다른 집단(통제집단)의 결과들을 비교 조사대상에 대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인위적으로 규정하여 조작된 변수의 효과를 파악하는 방법 - 실험집단;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적용 - 통제집단; 기존의 교육프로그램 적용 -> 최근엔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이 기존 교육프로그램과 비슷한 결과가 나오는 것 만으로도 어느정도 인정을 받을 수 있음 분석단위; 개인이 아닌 집단 - 집단의 데이터로 결과 분석 목적; 개입효과의 성공여부 확인보다는 '인과관계'의 규명 -> 중재프로그램이 어떤 것을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인과관계가 성립된다라는 것을 규명하는게 더 중요하다. 실험연구의 기본요소 - 공변성, 시간적 우연성, 외부설명의 통제 공변성..
조사연구법 조사연구(survey)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을 대상으로 계획한 주제와 관련한 질문의 응답을 얻어내고, 이를 통계절차에 따라 가공, 분석하는 조사방법 - 어떤 크기의 표본을 어떻게 추출할 것이며(표본크기와 표본추출), 어떻게 설문지를 설계하고(설문지 작성), 어떤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할 것인가(조사유형)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연구방법 - 표본을 얼마나 뽑을까, -> 다른 연구를 참조하면 된다. - 좋은 표본을 뽑아도 설문지 설계가 중요하다. - 의도하는 답변, 유도하면 연구의 건강성을 해친다. - 조사유형; 앱, 전화, 구두, 조사의 측정요소; 사실, 의견, 행동 사실 - 독립적으로 증명될 수 있는 모든것 - 관찰가능하고 조작적으로 정의가 일치하는 현상(성별 연령 교육정도(초졸, 중졸, 고졸)..

논문은 형식이 있다. 논문의 기본요건 독창성 객관성 - 근거의 입각성 정확성 - 출처, 연도 일관성 - 앞부분과 뒷부분의 용어 일관성 가독성 - 전공자가 이해 가능한 수준 기타 연구계획의 필요성 1. 연구자의 생각을 정리하고 연구문제를 분명히 함 2. 연구수행의 길잡이 역할을 함 3. 연구문제와 연구진행과정에 대해 조직적이고 심도있게 사고함 4. 연구과제에 대한 연구자의 생각과 의도를 전달함 - 연구계획서를 잘 짜는게 중요하다 연구주제 1. 흥미있는 주제, 해결해야할 과제, 알고싶은 문제 2. 문제의식과 주의깊은 관찰, 최신정보와 연구동향 파악, 비판적 독서와 다양한 분석 - 흥미만으로 연구주제가 될 수 없다! 연구계획서 작성 연구주제 발견요령 - 학위논문 뒷 부분에 한계 제한점 찾고 비판적 사고를 통해..
지능검사는 지능을 구성하고있는 여러가지 구성개념을 측정하는데 이 구성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해서 측정가능한 변인으로 만들어내고 그 변인들을 측정하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가 측정하는 것은 지능이 아니라 조작적 정의를 통해서 문화화한 그 변인들을 측정함으로서 구성개념을 파악하고 구성개념을 통해서 지능 이론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이론적 토대를 쓰는 이유 - 내가 생각하는 '지능' 은 무엇인가 -> 이론적 토대를 잘 설명해서 구성개념 변인 조작적 정의를 잘 내려야 한다. 무엇을 설명하고 예측하고 통제하고 나아가서 일반화를 할 수 있었을 때 사회과학으로서 교육학의 목표를 다했다고 할 수 있다. 이론이 있어도 경험을 통해 증명이 되어야 한다. 이론과 경험은 상호작용 하는 것 (누가 먼저인가는 x) 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