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발달 장애인
-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 교육학
- 양적 연구
- 교육
- 대학원
- 발달장애
- JAMOVI
- 특수교육
- 질적 연구
- 서울교육대학교
- 총 효과
- 피치마켓
- 부분 매개
- 문헌 지도
- 분석
- 읽기쉬운자료개발센터
- 홍성두
- creswell
- 문헌 고찰
- 읽기쉬운자료
- ANOVA
- 연구방법론
- 혼합 연구
- 완전 매개
- 학습장애
- 표본
- 선생님
- Kappa계수
- 논문
- Today
- Total
목록발달장애 (2)
igloo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Tlea/btqVnYeQ0BA/FPoYQilqgccog7QikZDLP1/img.jpg)
0. 왜? 어휘력이 낮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력 향상을 위해 어떤 교수방법이 있는지 검색을 하다 읽게 되었다. 특히 기존에 문제중심학습은 일반학생에게만 적용하는 교수법이라 생각했는데, 이를 어떻게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에 적용할 것인지 궁금했다. 1. 서론(1~2p) 지적장애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사용하는 어휘의 수가 적고, 어휘를 이해하는 능력도 부족하다. 어휘력과 언어적 사고력은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 언어적 사고력이란 뭘까? 사고력이란 생각하고 헤아리는 힘, 판단하는 힘을 의미한다. 아마 언어적 사고력이란 언어가 뜻하는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 같다. 지적장애학생의 낮은 어휘력은 일상의 의사소통에서 문제를 보이고 언어적 문제해결에서도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언어적 문제해결력이 무엇인지 궁금한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okzBy/btqUpaWifP6/edN4nhih4sizD9kPiuUk21/img.jpg)
"학생이 단어는 읽을 수 있는데, 낱글자는 못읽어요." 1. 현행수준 읽기 교수의 영역 측면에서 보면 읽기선수기술에서 프린트 인식 O 자모지식 △ 음운인식 O 으로 보인다. 낱개로 있는 자모음을 읽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예를들어 'ㄱ'을 "기억"이나 "가"로 발음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ㅣ'를 "이"라고 발음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단어인지 측면에선 큰 어려움을 보이진 않는데, 음독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예를들어 '바다'는 읽을 수 있지만(단어 자체를 알기 때문에) '바지'는 읽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존에 학습한, 알고있는 단어는 말할 수 있지만, 새로운 단어를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2. 어떻게 해야할까 파닉스 교수 파닉스 교수는 낱자-소리의 대응관계를 활용하여 단어를 학습하는 방법이다. ..